구 분 | '20학년도 이전 |
---|---|
수능위주전형 비율 |
대학 자율 |
수능최저학력 기준 활용 |
대학 자율 (선발방법 취지 고려) |
수능 출제범위 |
국어 : 화법과작문, 독서와문법, 문학 수학(가) : 미적분Ⅱ, 확률과통계, 기하와벡터 수학(나) : 수학Ⅱ, 미적분Ⅰ, 확률과통계 영어 : 영어Ⅰ, 영어Ⅱ 한국사 : 한국사 탐구 : 계열 구분 * 사회 : 9과목 중 택2 * 과학 : 8과목 중 택2 * 직업 : 10과목 중 택2 제2외국어/한문 : 9과목 중 택1 |
수능 절대평가 | 영어, 한국사 |
수능 EBS 연계율 | 70% (영어 일부간접연계) |
학생부 기재 개선 | 2019학년 고1부터 적용 ('22학년도 대입에 반영) |
자기소개서 개선 | 현행 서식 |
교사추천서 폐지 | 유지 |
평가과정 투명화 | 다수 입학사정관 평가 권장 평가기준 공개 확대 유도 |
선발결과 공시 | 대학별 고교 유형별 합격자수 공시 |
면접·구술고사 | 대학 자율 |
논술전형 | 단계적 폐지 유도 |
적성고사 | 대학 자율 (최소화 유도) |
구 분 | '21학년도 (2018학년도 입학생) |
---|---|
수능위주전형 비율 |
수능위주전형 비율 확대 유도 |
수능최저학력 기준 활용 |
대학 자율 (선발방법 취지 고려) |
수능 출제범위 |
국어 : 화법과작문, 독서, 문학, 언어 수학(가) : 수학Ⅰ, 확률과통계, 미적분 수학(나) :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통계 영어 : 영어Ⅰ, 영어Ⅱ 한국사 : 한국사 탐구 : 계열 구분 * 사회 : 9과목 중 택2 * 과학 : 8과목 중 택2 * 직업 : 10과목 중 택2 제2외국어/한문 : 9과목 중 택1 |
수능 절대평가 | 영어, 한국사 |
수능 EBS 연계율 | 70% (영어 일부간접연계) |
학생부 기재 개선 | 2019학년 고1부터 적용 ('22학년도 대입에 반영) |
자기소개서 개선 | 현행 서식 |
교사추천서 폐지 | 유지 |
평가과정 투명화 | 다수 입학사정관 평가 권장 평가기준 공개 확대 유도 |
선발결과 공시 | 대학별 고교 유형별 합격자수 공시 |
면접·구술고사 | 대학 자율 (최소화 유도) |
논술전형 | 단계적 폐지 유도 |
적성고사 | 대학 자율 (최소화 유도) |
구 분 | '22학년도 이후 (2019학년도 입학생) |
---|---|
수능위주전형 비율 |
수능위주전형 비율 30% 이상 재정지원과 연계 (학생부교과 30% 이상 대학은 자율) |
수능최저학력 기준 활용 |
대학 자율 (선발방법 취지 고려) |
수능 출제범위 |
국어(공통) : 독서, 문학 국어(선택) : 화법과작문, 언어와매체 중 택1 수학(공통) : 수학Ⅰ, 수학Ⅱ 수학(선택) :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중 택1 영어 : 영어Ⅰ, 영어Ⅱ 한국사 : 한국사 탐구(일반) : 계열구분없이 택2 * 사회 : 9과목 * 과학 : 8과목 탐구(직업) : 성공적인직업생활 + 5과목 중 택1 제2외국어/한문 : 9과목 중 택1 |
수능 절대평가 |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
수능 EBS 연계율 | 50% (간접연계 확대) |
학생부 기재 개선 | 2019학년 고1부터 적용 ('22학년도 대입에 반영) |
자기소개서 개선 | 서식 간소화 및 개선 |
교사추천서 폐지 | 폐지 |
평가과정 투명화 | 다수 입학사정관 평가 의무화 평가기준 공개 확대 유도 부정·비리 제재 근거법규정 신설 |
선발결과 공시 | 대학별 대입전형별 고교 유형 지역별 합격자수 공시 |
면접·구술고사 | 대학 자율 (최소화 유도) |
논술전형 | 단계적 폐지 유도 |
적성고사 | 폐지 |
전체 모집인원은 346,553명으로 2021학년도보다 894명 감소하였
으며 정시모집은 전년대비 1.3% 증가하여 전체모집인원 중 24.3%
(84,175명)에 해당하는 인원을 선발한다.
“대입공정성 강화발안” 발표와 함께 2023학년도부터 정시 40% 확대
예정이던 서울소재 16개 대학의 경우 2022학년도부터 정시선발
비율은 37.9%로 2021학년도 29.7%에 비해 큰 폭의 차이를 보이며
정시를 확대 실시한다. 특히 16개 대학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은 45.45%에서 36.05%로 감소했다
구분 | 수시모집 | 정시모집 | 합계 |
---|---|---|---|
2022학년도 | 262,378 (75.7%) |
84,175 (24.3%) |
346,553 (100%) |
2021학년도 | 267,374 (77%) |
80,073 (23%) |
347,447 (100%) |
대 학 | 수시모집 인원 | ||
---|---|---|---|
2021 | 2022 | 증감 | |
건국대 | 2,152 | 2,037 | ▼115 |
경희대 | 3,655 | 3,120 | ▼535 |
고려대 | 3,323 | 2,511 | ▼812 |
동국대 | 2,049 | 1,834 | ▼215 |
서강대 | 1,119 | 1,019 | ▼100 |
서울대 | 2,606 | 2,376 | ▼230 |
시립대 | 1,172 | 1,020 | ▼152 |
성균관대 | 2,438 | 2,228 | ▼210 |
숙명여대 | 1,661 | 1,477 | ▼184 |
연세대 | 2,356 | 2,140 | ▼216 |
이화여대 | 2,084 | 2,141 | ▲57 |
중앙대 | 3,325 | 3,267 | ▼58 |
한국외대 | 2,159 | 2,090 | ▼69 |
한양대 | 2,098 | 1,817 | ▼281 |
홍익대 | 2,456 | 2,613 | ▲157 |
대 학 | 수시모집 인원 | ||
---|---|---|---|
2021 | 2022 | 증감 | |
건국대 | 1,191 | 1,359 | ▲168 |
경희대 | 1,548 | 2,203 | ▲655 |
고려대 | 768 | 1,682 | ▲914 |
동국대 | 957 | 1,228 | ▲271 |
서강대 | 570 | 696 | ▲126 |
서울대 | 754 | 1,047 | ▲293 |
시립대 | 641 | 786 | ▲145 |
성균관대 | 1,128 | 1,448 | ▲320 |
숙명여대 | 714 | 939 | ▲225 |
연세대 | 1,274 | 1,635 | ▲361 |
이화여대 | 1,132 | 1,197 | ▲65 |
중앙대 | 1,514 | 1,732 | ▲218 |
한국외대 | 1,403 | 1,539 | ▲136 |
한양대 | 1,043 | 1,375 | ▲332 |
홍익대 | 1,559 | 1,462 | ▼97 |
학년도 | 수시 | |||
---|---|---|---|---|
교과 | 종합 | 논술 | 실기 | |
2022 | 12.0% | 34.9% | 9.9% | 4.0% |
2021 | 7.7% | 43.7% | 12.6% | 4.8% |
학년도 | 정시 |
---|---|
수능 | |
2022 | 37.1% |
2021 | 29.2% |
수시 이월 인원까지 고려하면 실제 정시모집 인원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교과 내신이 수능성적(모의고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수험생이
상위권 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는 통로인 논술전형의 모집인원이 매년
줄어들고 있다. 적성고사가 폐지되고 가천대, 고려대(세종), 수원대
등 논술전형을 신설되면서 논술전형은 상위권 수험생뿐만 아니라
중위권 수험생까지 가세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2022학년도에는 서울대를 제외한 주요 대학이 교과전형으로 선발한다.
교과전형은 지역균형 선발 성격의 학교장추천전형이 대부분이다.
연세대 교과추천형, 한양대 지역균형발전, 한국외대 학교장 추천,
이화여대 고교추천전형, 광운대 지역균형, 명지대 학교장추천, 건국대
KU 지역균형, 세종대 지역균형 등은 수능최저가 없다.
전체 모집인원은 346,553명으로 2021학년도보다 894명 감소하였
으며 정시모집은 전년대비 1.3% 증가하여 전체모집인원 중 24.3%
(84,175명)에 해당하는 인원을 선발한다.
“대입공정성 강화발안” 발표와 함께 2023학년도부터 정시 40% 확대
예정이던 서울소재 16개 대학의 경우 2022학년도부터 정시선발
비율은 37.9%로 2021학년도 29.7%에 비해 큰 폭의 차이를 보이며
정시를 확대 실시한다. 특히 16개 대학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은
45.45%
에서 36.05%로 감소했다.
선택 지정과목 | 대학 |
---|---|
미적분/ 기하 중 택1 |
가천대, 가톨릭대, 강원대, 건국대, 경북대, 경성대, 경희대, 계명대, 고려대, 공주대, 광운대, 국민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대구한의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동의대, 목포대, 부산대, 상지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서원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순천대, 숭실대, 아주대, 연세대, 연세대(미래), 영남대, 울산대, 원광대, 이화여대, 인제대, 인하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조선대, 중앙대, 치의과학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항공대, 한림대, 한양대, 한양대(ERICA), 홍익대 |
확률과 통계 |
대구한의대/한의예과(인문), 동의대/한의예과, 인제대/약학과 |
서울대가 2022학년도부터 정시에서 다시 (나)군으로 모집함에 따라
연세대와 고려대는 (가)군 으로 모집군을 변경했고, 서강대는 (가)군
에서 (나)군으로, 이화여대는 (나)군에서 주로 선발할 예정이다.
최상위권 대학의 모집군이 변동함에 따라 상당 수의 대학들이
모집군의
변화가 있기 때문에 이를 잘 살펴 정시 지원전략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
2022학년도부터 약대가 6년제로 변경되면서 수시모집에서 923명,
정시에서 655명을 선발한다. 숙명여대와 목포대가 미발표하였고,
강원대, 부산대, 충남대 등은 아직 6년제 변경에 미정인 상황이다.
대학 | 모집시기 | 합계 | |||
---|---|---|---|---|---|
수시 | 정시(가) | 정시(나) | 정시(다) | ||
가천대 | 21 | 15 | 36 | ||
가톨릭대 | 23 | 12 | 35 | ||
경북대 | 28 | 5 | 33 | ||
경상대 | 23 | 12 | 35 | ||
경성대 | 35 | 20 | 55 | ||
경희대 | 28 | 16 | 44 | ||
계명대 | 10 | 8 | 18 | ||
고려대(세종) | 24 | 12 | 36 | ||
단국대 | 11 | 22 | 33 | ||
대구가톨릭대 | 39 | 20 | 59 | ||
덕성여대 | 46 | 40 | 86 | ||
동국대 | 18 | 17 | 35 | ||
동덕여대 | 24 | 20 | 44 | ||
삼육대 | 23 | 14 | 37 | ||
서울대 | 44 | 19 | 63 | ||
성균관대 | 40 | 30 | 70 | ||
순천대 | 15 | 18 | 33 | ||
아주대 | 15 | 21 | 36 | ||
연세대 | 19 | 17 | 36 | ||
영남대 | 52 | 28 | 80 | ||
우석대 | 38 | 16 | 54 | ||
원광대 | 35 | 10 | 45 | ||
이화여대 | 20 | 70 | 90 | ||
인제대 | 27 | 12 | 39 | ||
전남대 | 42 | 23 | 65 | ||
전북대 | 24 | 9 | 33 | ||
제주대 | 23 | 10 | 33 | ||
조선대 | 57 | 24 | 81 | ||
중앙대 | 57 | 74 | 131 | ||
차의과학대 | 30 | 12 | 42 | ||
충북대 | 16 | 10 | 26 | ||
한양대(ERICA) | 16 | 19 | 35 | ||
합계 | 923 | 326 | 258 | 71 | 1,538 |
Copyright © 2019 청솔기숙학원 all rights reserved.